티스토리 뷰
전자신문에서 세무서비스를 지원하는
핀테크 업체들에 관한 기사가 올라와서
받아적으면서 공부해본다.
핀테크업계가 세금 납부 시장을 겨냥해 합종연횡을 펼친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을 앞두고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11조원대 규모로 성장한 시장 점유율 경쟁이 치열하다.
비바리퍼블리카 토스는 지난 1일 세금 환급 서비스 세이브잇을 운영하는
택사스소프트를 인수를 공시했다.
세이브잇은 2022년 출시돼 종합소득세와 양도소득세 등 세금환급과
부가가치세 신고, 세무대리인 관리 등 세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토스는 180억원 규모로 택사스소프트를 인수하고 5월 중 대금 납입을 마무리하고
관련 절차를 마무리 지을 전망이다.
토스는 프리랜서와 개인사업자 등이 주요 타깃인 종합소득세와
세금환급 시장을 공략해 고객 편의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기존 운영 중인 각종 세금과 공과금 청구서를 앱에서 조회 후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에서 영역을 확장한다.
카카오뱅크는 개인사업자와 세금신고 서비스 SSEM 과 손잡고
앱에서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 조회, 신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SSEM은 홈택스 매출, 매입 내역 등 사업 관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금을 계산하고 신고하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등에 최적의 세액을 계산해준다.
토스, 카카오뱅크 등 핀테크 업계가 세금 납부 시장을 공략하는 이유는
매년 N잡러 등 개인사업자와 프리랜서 비율이 높아지며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예산처가 2016년까지 조사한 납세협력비용은 11조 1,179억원에 달한다.
경제 규모 증가와 프리랜서 증가로 그 규모는 더욱 커졌을 것으로 추산된다.
업계는 간편한 인증 절차와 비대면 플랫폼 강점을 살려 세금납부 시장을 공략중이다.
세금 조회와 신고, 환급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돌려받는 혜택은 극대화한다.
삼쩜삼이 대표적이다.
삼쩜삼은 종소세 신고 대상자가 스마트폰 번호와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정봄반 입력하면
환급 예상금액을 알려주고 신고와 환급절차도 진행해준다.
최근 누적 가입자 2,000만명을 돌파하며 누적 환급액 1조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네이버는 데이터 자동화 환급 플랫폼 1분에 투자한다.
1분은 세무대리인 위임을 강제하지 않는 데이터 자동화 환급과
AI 기반 세액 계산 자동화 시스템으로 환급액 정확도를 높였다.
업계 관계자는 플랫폼 기술력을 기반으로 개인 납세의 피로도를 덜어주는
서비스가 날로 성장하고 있다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을 맞이해
관련 마케팅 프로모션 등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음...플레이스토어에서 그냥 세금 치면 SSEM이 바로 딱 보이는데
나도 잘 사용하고 있는데 이 SSEM은 정말 단순해서
따로 뭘 할게 없을 정도로 편하다.
아마 당분간은 SSEM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일 것 같다.
토스에서 세이브잇 얘기 나오길래 구글 앱스토어에 검색해봤는데
안뜨길래 구글에서 검색했더니 웹에서 서비스하는 것 같다.
모바일 웹이나 그냥 웹이나 화면 차이가 거의 없는거 같다.
아무튼 요것도 눈여겨 봐야겠다.
토스가 인수한다고 하니 좀 기대차가 높아지게 된다.
토스도 빨리 상장했으면 한다. 배당도 주면 좋고.
'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금융권 최초 사업자 인증서 발급 기사를 읽고 (0) | 2024.04.22 |
---|---|
대법원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별도 지급시 10% 아닌 법령에 따른 업종세율 적용 기사를 읽고 (1) | 2024.04.18 |
의무가입 기간 지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는 어떻게 기사를 읽고 (1) | 2024.04.06 |
절세 목적으로 법인 설립 기사를 읽고 (1) | 2024.03.25 |
주유소에서 담배 피우면 과태료 최대 500만원 기사를 읽고 (0)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