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세금기사가 강한 전자신문에서 

토스 세이브잇 플랫폼에 관한 기사가 올라와서 

받아적으면서 공부해본다.

 

 

 

비바리퍼블리카 토스가 세무서비스 계열사 택사스소프트 사명을

토스인컴으로 변경한다. 

지난 2일 인수한 후 브랜딩 개편 절차에 착수하며 화학적 결합에 속도를 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토스는 2일 인수한 택사스소프트를 토스 인컴으로

사명 변경을 추진 중이다.  토스는 지난달 1일 택사스소프트에 대한 투자 목적을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결정을 공시, 읻알 초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택사스소프트는 2021년 설립돼 세금 환급 플랫폼 세이브잇을 운영 중이다. 

종합소득세와 양도소득세, 세금환급과 부가가치세 등 

세금관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토스는 택사스소프트 인수 이후 사명 변경을 위해 특허청에

토스 인컴 상표를 출원했다. 세무서비스를 주로 제공하지만, 

사명에 택스나 기존 세이브잇을 쓰지 않고 대신 인컴을 담았다. 

세금을 단순 절약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세금 관리 또한  소득 관리 일환이라는 관점을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토스 인컴 상표권 관세절차대행, 관세 환급, 세금설계 관련 금융서비스업,

세금 관련  재무 계획, 세금 관련 재무 상담, 세금 지불 처리 등

업무를 대상으로 출원돼 현재 심사 대기중이다.

통과되면 토스는 토스뱅크, 토스증권, 토스페이먼츠, 토스씨엑스, 

토스플레이스, 토스모바일, 토스인컴 등 계열사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토스는 지난달 택사스소프트 유상증자를 발표하고,

같은 달 24일부터 세이브잇을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 경정청구를 돕는

숨은 환급액 찾기 서비스를 제공했다. 

인수대음을 완납한 지난 2일부터 종합소득세 신고도 추가로 진행하는 등

세이브잇 서비스를 점차 토스에 확대 적용 중이다.

향후 토스 앱에서 부가가치세 신고, 연말정산 미리보기 등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토스가 뛰어들며 세금환급 시장 경쟁은 한층 뜨거워지는 양상이다. 

세금환급 시장 환급 시장은 연간 환급액 기준으로 10조원, 수수로 기준 3조원에 달하는 규모를 갖췄다.

세무 플랫폼 뿐 아니라 빅테크, 핀테크 등이 세무 플랫폼을 인수하거나 

제휴하는 등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각 사비대면 모바일 편의성과 UX, UI등 강점을 앞세워

세금 재무 시장 경쟁에 나섰다. 

 

세금테크 시장을 주도해온 삼쩜삼을 필두로 카카오뱅크가 SSEM과 손잡고

세금 조회, 세금 신고 서비스를 진행하는 등 플랫폼과 인터넷전문은행을 가리지 않고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핀다 역시 지난달 비즈넵 운영사 지앤터프라이즈오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고

세금 환급 시장에 참전했다. 

 

 

 

음...SSEM, 삼점쌈, 세이브택스, 비즈넥 등 다양한 앱들이 경쟁하는데

토스가 인수한 택사스소프트 세이브잇이 토스인컴으로 한다는 것으로 보아

또 세금을 단순 절약 대상으로 보지 않고 소득 관리의 일환이라는 

관점을 반영했다는 것으로 보아 토스증권에 해외투자 관련해서

양도소득세 관련 서비스도 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을 하게 된다. 

아마 토스뱅크와 토스증권의 양도소득세가 주력이 될 것 같은 기대감?

아무튼 은근히 기대를 해본다.

반응형